• facebook twitter 프린트
      색채표준정보
      > 정보 > 색동코리아 > 색채표준정보
      색동코리아
      국민 색채감성 향상과 산업계 색채표준 활용을 위해
      색채표준 체계 및 정보를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색의 3속성에 의한 표시방법
      색을 표시하는 방법은 색견본의 제시, 색이름, 색의 표시 등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에 관해 한국산업표준(KS)은 색을
      표시하는 방법을 아래와 같이 규정하고 있습니다.
      1) KS A 0011 (물체색의 색이름)
      2) KS A 0012 (광원색의 색이름)
      3) KS A 0061 (XYZ색 표시계 및 X10Y10Z10색 표시계에 따른 색의 표시 방법)
      4) KS A 0062 (색의 3속성에 의한 표시 방법)
      5) KS A 0063 (색차 표시 방법)
      6) KS A 0067 (L*a*b* 표색계 및 L*u*v* 표색계에 의한 물체색의 표시 방법)
      색의 표시방법

      · 유채색의 기재방식: HV/C 보기) 2.5R 4/10 (2.5R, 4의10으로 읽는다)

      · 무채색의 기재방식: NV 보기) N8
      약간의 색을 띠는 무채색: NV/(HC) 보기) N5.5/(Y0.3)

      색상(H)은 명도 및 채도가 일정한 색상환을 감각의 차가 거의 등간격이 되도록 나누어 기호 및 그 앞에 붙인 숫자로 나타냅니다.
      명도(V)는 무채색을 기준으로 이상적인 검정을 0, 이상적인 흰색을 10으로 하여 그 사이를 명도 감각의 차가 거의 같은 간격이 되도록 나누고 숫자로 나타냅니다.
      채도(C)는 색상 및 명도가 일정한 색 배열을 채도 감각의 차가 거의 등간격이 되도록 분할하고, 무채색을 0으로 하여 채도의 증가에 따라 차례로 1, 2, 3, 4···와 같이 숫자로 나타냅니다.

      물체색의 색이름

      색이름은 계통색이름과 관용색이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계통색이름은 모든 색을 계통적으로 분류해서 표현한 것으로 유채색명과 무채색명으로 나뉘며 기본색이름과 기본색이름의 조합으로 이루어집니다.
      보기) 빨강, 진한 빨강, 밝은 빨강
      관용색이름은 관용적인 호칭 방법으로 표현한 색이름으로 우리에게 익숙한 과일, 식물, 사물에 빗대어 나타낸 표현입니다. 보기) 벚꽃색, 사과색, 코코아색

      유채색의 기본색이름
      유채색의 기본색이름
      기본색이름 대응 영어(참고) 약호(참고)
      빨강(적) Red R
      주황 Yellow Red YR
      노랑(황) Yellow Y
      연두 Green Yellow GY
      초록(녹) Green G
      청록 Blue Green BG
      파랑(청) Blue B
      남색(남) Purple Blue PB
      보라 Purple P
      자주(자) Red Purple RP
      분홍 Pink Pk
      갈색(갈) Brown Br
      무채색의 기본색이름
      무채색의 기본색이름
      기본색이름 대응 영어(참고) 약호(참고)
      하양(백) White Wh
      회색(회) (neutral) Grey(영), (neutral) Gray(미) Gy
      검정(흑) Black Bk


      공공디자인 색채표준 가이드란?

      공공디자인에 사용될 색채 데이터를 분석하여 KS A 0062 (색의 3속성에 의한 표시방법)에 규정된 1,519개 색채범위의 KS기호 및 관련 색채정보를 제공하므로, 공공디자인 산업분야에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습니다.

      표준색 이름편과 디자인 활용편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표준색 이름편에는 KS A 0011(물체색의 색이름)의 2005년 개정판에 수록된 계통색이름과 관용색이름의 색채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디자인 활용편에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공공시설물 및 국가상징물 규정 색채, 정부부처 상징색채, 서울색채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특히 '공공디자인 색채표준 가이드' 를 통해 디자인 산업계 및 제조업계 사업자는 의사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어 공공시설물 관련 법령, 시방서 등에서 규정하고 있는 색채 활용이 더욱 편리해집니다.

      공공디자인 색채표준가이드-표준색이름편

      표준색이름편에는 계통색이름 203종, 관용색이름 128종 등의 총 346종의 색채가 수록되어 있다.

      - 앞면: 색표, KS 색채기호, 표준색이름
      - 뒷면: L*a*b*, YDXDyD, sRGB, CMYK 색값, 색표를 넣어 찾기 쉽게 구성

      색을 표시하는 방법은 KS A 0011, KS A 0062, KS A 0064 등에 근거하여, KS 삼속성(HVC),
      표준색이름, L*a*b*, YDXDyD, sRGB, CMYK의 6가지로 표기하였다.

      공공디자인 색채표준 가이드-표준색이름편 설명입니다.

      공공디자인 색채표준가이드-표준색이름편

      표준색이름편에는 계통색이름 203종, 관용색이름 128종 등의 총 346종의 색채가 수록되어 있다.

      - 앞면: 색표, KS 색채기호, 표준색이름
      - 뒷면: L*a*b*, YDXDyD, sRGB, CMYK 색값, 색표를 넣어 찾기 쉽게 구성

      색을 표시하는 방법은 KS A 0011, KS A 0062, KS A 0064 등에 근거하여, KS 삼속성(HVC),
      표준색이름, L*a*b*, YDXDyD, sRGB, CMYK의 6가지로 표기하였다.

      공공디자인 색채표준 가이드-표준색이름편 설명하는표입니다.

      공공디자인 색채표준가이드-디자인활용편

      디자인활용편은 현재 공공시설 및 국가부처 상징물 규정에 사용되고 있는 공공디자인 색채, 정부부처 상징색채,서울색채등으로 구성되어있다.

      - 앞면: 공공시설물 및 상징물 등에 적용할 수 있는 KS 색채기호, 용도 표기
      - 뒷면: 표준색이름, 사례, L*a*b*, YDXDyD, sRGB, CMYK 색표

      관련 산업별 종사자들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하여 KS 색기호로 규정된 색채범위 내에서 생활에 밀접하게사용되는 공공시설물 관련색채, 국가상징물 사용색채, 지하철 노선도 사용색채, 공공기관별 CI&MI 사용색채,서울색표집에 사용된 색채를 최소한의 오차 범위인 색채값으로 변환하여 수록하였다.

      공공디자인 색채표준가이드-디자인활용편 설명하는표입니다.

      공공디자인색채표준가이드
      품 명 공공디자인 색채표준 가이드 - (표준색 이름편 + 디자인 활용편 통합본)
      구 성
      (통합본)
      구 성 (통합본) 구 성 (통합본)

      - 기본색이름 15색채

      - 계통색이름 203색채

      - 관용색이름 128색채

      - 총43개 정부부처 법령규정값 수록

      - 공공디자인 121색채

      - 정부부처상징 162색채

      - 서울 50색채

      파 일 공공디자인 색채표준 가이드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