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전자정보표준과
- 신산업 표준분야(바이오ㆍ나노ㆍ의료 제외)에 관한 중장기 계획 수립 및 시행
-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의 기술협력 및 표준개발 지원
- 전기ㆍ전자 및 디지털융합 관련 산업의 육성대책 및 표준화 지원
- 「산업표준화법」에 따른 정보통신분야 산업표준화 정책 및 표준개발 관련 계획의 수립ㆍ추진
- 국제정보통신기술위원회(ISO/IEC JTC 1)의 운영 및 협력
- 정보통신분야 사실상 국제표준에 대한 지원
- 다음 각 목의 소관 업무분야에 대한 각 목의 사항
- 가. 전기ㆍ전자기기의 신뢰성 및 서지보호 관련 기술
- 나. 가전제품, 중전기기 등 전기ㆍ전자ㆍ전력기기 관련 기술
- 다. 전력ㆍ통신케이블, 전로용품 및 전자제어장치 관련 기술
- 라. 전력시스템 및 정보운용 등 지능형 전력망 기술
- 마. 광원ㆍ조명기구 등 광응용 기술
- 바. 가공송전, 전기에너지측정, 부하제어 등 송배전시스템 기술
- 아. 교통ㆍ공간ㆍ물류ㆍ보건ㆍ교육ㆍ금융ㆍ건설 정보 등 정보통신 융합기술
- 자.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표준화의 추진은 미래창조과학북 장관과 협의한 사항으로 한정한다.), 내장형 소프트웨어, 시스템 공학 관련 기술
- 차. 센서네트워크, 홈네트워크 등 스마트 네트워크 관련 기술
- 카. 정보통신장비 및 통신프로토콜 관련 기술
- 타. 정보통신 분야 상호운용성 확보 관련 기술
- 파. 차량, 장비식별, 자동요금징수시스템 등 지능형교통시스템(ITS) 관련 기술
- 하. 웹 서비스,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지향아키텍처(SOA) 등 인터넷 관련 기술 및 서비스
- 거. 멀티미디어 부호화 기술, 멀티미디어시스템 및 관련 서비스 기술
- 너. 은행거래, 신용카드, 전자지불 등 금융 서비스 관련 기술
- 더. 전자세금계산서, 전자카탈로그 등 전자거래 관련 기술
- 러. 무선인식(RFID), 바코드, 식별카드(ID카드) 등 자동인식 기술
- 머. 문자코드, 웹 등 정보의 입력ㆍ표현ㆍ처리 및 검색 기술
- 버. 전자문서 관련 기술
- 서. 기록물 관리 등 문헌정보 관련기술
- 어. 정보보호 및 정보보안 관련기술
- 저. 생체인식 및 관련 응용기술
- 처. 컴퓨터 및 주변기기 등 사무기기 관련 기술
- 커. 모바일단말기 등 개인정보기기 및 관련 서비스 기술
- 터. 유비쿼터스(Ubiquitous) 기반 정보통신 융합기술
- 퍼.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탄소 배출량 저감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