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acebook twitter 프린트
      국내 기술규제 전주기 합리화
      > 정책 > 기술규제대응 > 국내 기술규제 전주기 합리화 > 기술규제영향평가
      기술규제영향평가 란?
      각 부처의 기술규제 도입으로 인해 기업의 경영이 위축되지 않도록
      규제의 비용, 편익, 파급효과, 규제의 적합성 등을 고려하여 최선의 규제 대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써,
      각 부처 기술기준(기술규정)이나 시험 · 검사 · 인증 등과 관련된 법령 등의 제·개정 시에
      기존 유사제도와의 중복성 여부 및 국가표준(KS, KCS 등), 국제기준과의 조화여부 등을 파악하여
      규제의 타당성을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검토항목]
      항목 세부내용
      1. 제⋅개정 근거의 타당성 ∙ 사고 발생, 위해 여부 등 규제 도입 근거의 타당성, 합리성
      2. 규제 대상⋅내용의 명확성 ∙ 피규제자 관점에서 규제 대상, 내용이 명확한지 여부
      3. 타제도와의 중복성 ∙ 타제도와의 중복 및 활용 가능성, 타제도 평가결과 인정 여부
      4. 기술규제의 과도성 ∙ 국내·외 유사 제도·품목 대비 기준·절차의 형평성 비교
      5. 국가⋅국제 표준과의 조화 ∙ 국가표준(KS), 국제표준(ISO, IEC 등)과 불일치 여부
      6. 피규제자 대응 가능성 ∙ 규제이행을 위한 유예기간 여부, 시험인증 인프라 확보 여부
      7. 기타 ∙ 특정기업, 사람 등에 대한 특혜 여부 등
       
      [추진절차]
      소관부처 국무조정실 소관부처 국표원 소관부처 국무조정실 법제처
      심사 등
      법령입안 규제심사
      대상여부
      사전검토
      입법(행정)
      예고
      기술규제
      영향평가
      자체규제
      심사
      규제개혁
      위원회
      심사
      담당자
      담당부서 기술규제조정과 담당자 신명철 연락처 043-870-5559